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머신러닝/프로젝트

(3)
머신러닝/프로젝트 AI를 활용해 무료로 음악 생성해보기 개요요즘 AI를 이용한 음악 생성 모델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 유튜브에 올라온 OO 노래는 AI 모델을 활용해 몇백만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AI 음악 생성 사이트에서 음악을 생성하려고 했지만, 웬걸 돈 내라고 합니다.모델만든 분들의 고생한 걸 알지만 이걸 돈받고 할만한 가치가 있는가라는 궁금증과 내가 한번 만들어보지라는 생각으로 시작했습니다.AI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관계로 이미 만들어져있는 모델들을 활용해 만들어봤습니다. 구성제가 생각한 방법은 3단계로 나눠 구성했습니다.1. 음악 자체를 만들어주는 모델 2. TTS로 보이스3. 음악과 TTS를 디퓨전하는 모델 모델사용한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1. 음악을 생성 모델은 페이스북 뮤직 젠(Facebook/music-..
머신러닝/프로젝트 사칙연산 계산기 MLP 로 구현하기 학교 프로젝트로 MLP로 사칙연산 계산기를 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레이어를 단순히 많이 추가하거나 히든 노드를 추가한다고 해서 사칙연산 계산을 더욱 잘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사칙연산을 구현하는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MLP에 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모델을 만들거나 입력 데이터나 학습데이터를 인코딩해서 LSTM 모델을 만들어야 합니다. Seq2seq 를 이용한 사칙연산 https://github.com/hugikun999/Seq2Seq_Arithmetic GitHub - hugikun999/Seq2Seq_Arithmetic Contribute to hugikun999/Seq2Seq_Arithmetic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
머신러닝/프로젝트 독버섯 분류 학교 머신러닝 수업에서 회귀 프로젝트로 독버섯 분류한 내용입니다. 로지스틱 회귀와 트리 회귀를 통해 독버섯을 분류해봤습니다. 독버섯 데이터 독 버섯 데이터는 UCI와 캐글에 있는 mushroom-classification를 이용하였습니다. https://www.kaggle.com/datasets/uciml/mushroom-classification Mushroom Classification Safe to eat or deadly poison? www.kaggle.com 프로젝트 설명 현재 독버섯 데이터는 22개의 컬럼과 독성과 식용에 해당하는 1개의 컬럼 데이터가 8124 개가 존재합니다. 이중에서 모든 컬럼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버섯을 발견했을 때 흔히 알수 있는 컬럼을 이용해 독버섯을 분류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