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리/근거리 채팅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로젝트 정리/근거리 채팅 근거리 채팅 서비스 개발하기 (2) - 위치 기반 채팅방 검색, 채팅내역 저장 서론 리액트 네이티브에서 SSID를 가져올 때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react-native-wifi-reborn는 안드로이드 13 이후 보안 문제로 가져오지 못하고 IOS 경우 개발자를 구매하지 않아서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채팅방을 개설할 때 위치를 기반으로 개설한 후 채팅방을 보여줄 때 사용자가 설정한 범위안에 있는 채팅방만 보이도록 설정했습니다. 현재까지 구현한 채팅방 생성, 반경 설정한 채팅방 보여주기, 채팅 내역 저장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겠습니다. 테이블 사용자 위치 경도 테이블 ID LAT LOT RADIUS USER_ID USER 테이블과 1:1 관계로 위도,경도, 채팅방 반경, 유저 테이블 정보를 저장합니다. 채팅방 테이블 ROOM_ID CREATE_TIME MO.. 프로젝트 정리/근거리 채팅 근거리 채팅 서비스 개발하기 (1) - 프로젝트 ssid 가져올 수 없는 문제 이전 프로젝트 설계 원래 개발하려고 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기마다 고유로 가지고 있는 Device Id를 가져오고 회원가입 없이 닉네임을 만들어 채팅을 사용한다. 2. 리액트 네이티브 앱에서 사용자가 wifi로 연결이 되어있으면 해당 SSID를 서버에 저장하고 채팅방을 만들어 소켓에 연결한다. 3. 사용자가 어플을 종료하게 되면 FCM으로 채팅방에 해당하는 새로운 알람을 전송해준다. 4. 사용자가 어플을 종료했다가 다시 어플을 켰을 때 이전 채팅 기록을 서버에서 전송해주고 소켓을 다시 연결한다. 큰 틀은 이렇게 잡고 개발 중 문제가 생겼습니다. 프로젝트 문제점 Device ID 보안 이슈 원래 회원가입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Device Id를 이용하려고 했지만 사용자에.. 프로젝트 정리/근거리 채팅 근거리 채팅 서비스 개발하기 (0) - 프로젝트 설계 프로젝트 개요 문뜩 카페에서 공부하다가 생각난 아이디어로 시작한 프로젝트입니다. 카페에서는 와이파이를 이용해 대부분 인터넷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같은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일 경우 자동으로 채팅방이라는 한 공간에 모여 소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발하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사용 프레임워크 기본적인 웹 동작 js, ts 로는 ssid를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용 중인 기기에 해당하는 와이파이를 알수 있고 Anodroid, IOS 를 동시에 개발할 수 있는 리액트 네이티브를 프론트엔드로 사용하였습니다. 백엔드로는 현재 공부중인 스프링부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프로젝트 서비스 흐름도 리액트 네이티브 앱에서 ssid 를 검색해 현재 연결 중인 ssid 를 가져옵니다. ssid를 가져오게 되면 스프링 서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