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71)
알고리즘 [탐욕법] 당장 좋은 것만 선택하는 그리디 그리디 알고리즘이란 그리디 알고리즘이란 한국어로 번역하면 탐욕적인이라는 뜻으로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알고리즘입니다. 그 뜻은 해당하는 구간에서 가장 좋은 것만 선택하고 다음 구간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아래에 거스름 돈에서 그리디를 사용할 떄와 사용하면 안될 때를 설명하겠습니다. 거스름 돈 코드 # 그리디 알고리즘 코인선택 def greed_coin(N,coins): count = 0 for coin in coins: count+= N//coin N %=coin print("최소 동전 " , count) N = 1310 coins = [500,100,50,10] greed_coin(N,coins) 1310원의 돈을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해결하는 코드입니다. 몫은 코인에서 남은 ..
클라우드 서비스/AWS EC2 로 스프링 부트 배포하기 아마존 EC2 서버 생성 및 ssh 등록은 아마존 클라우드 홈페이지에서 하는 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EC2 서버 생성 및 Linux 인스턴스 연결 https://docs.genians.com/nac/6.0/release/ko/install/aws/instance-setting.html 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방법 — Genian NAC beta documentation © Copyright 2021, GENIANS, INC. docs.genians.com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AccessingInstancesLinux.html SSH를 사용하여 Linux 인스턴스에 연결 - Amazon Elastic Compute ..
클라우드 서비스/AWS 아마존 클라우드 첫 가입 1년 프리티어 아마존 클라우드는 유료 서비스입니다. 하지만 AWS는 1년간의 무료 사용 기간을 제공합니다. 아마존 회원 가입 https://aws.amazon.com/ko/free/ 무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AWS 프리 티어 Q: AWS 프리 티어란 무엇입니까? AWS 프리 티어는 고객에게 서비스별로 지정된 한도 내에서 무료로 AWS 서비스를 살펴보고 사용해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프리 티어는 12개월 프리 티어, 상 aws.amazon.com 사이트에 접속해 회원가입을 진행하면 됩니다. 아이디 패스워드 입력 -> 신용 카드 등록 -> 휴대폰 본인 확인 -> 인증번호 확인 -> 프리티어 선택!! 으로 가입하시면 1년동안 무료로 실습하는데 문제가 없는 제한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IDE 인텔리제이 - 맥북 단축키 정리 진짜 자주 쓰는 단축 키 shift(⇧) + shift(⇧) (쉬프트 두번 입력) : 파일, 클래스, 옵션 등 모든 것 검색 (클래스 명 드래그 후 쉬프트 두 번으로 검색 가능) command(⌘) + e : 최근 파일 검색(여기서 최근 파일 검색 말고도 프로젝트 파일 이동, 깃 허브 창 열기 가능) command(⌘) + option(⌥) + m : 메소드 추출 command(⌘) + option(⌥) + p : 파라미터 추출 command(⌘) + option(⌥) + v : 변수 추출(타입 헷갈릴 때 유용함) command(⌘) + d : 코드 라인 복사(드래그 사용 시 해당 드래그 범위 복사) command(⌘) + / : 주석 처리(드래그 사용 시 해당 범위 주석) command(⌘) + shi..
머신러닝/공부내용 독버섯 분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서 분류하기 이전에 로지스틱 회귀와 트리 회귀로 독버섯을 구분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이 회귀 모델과 케라스를 이용해 모델을 만들었을 때 정확도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전 회귀 모델 https://allinfor.tistory.com/41 독버섯 분류 학교 머신러닝 수업에서 회귀 프로젝트로 독버섯 분류한 내용입니다. 로지스틱 회귀와 트리 회귀를 통해 독버섯을 분류해봤습니다. 독버섯 데이터 독 버섯 데이터는 UCI와 캐글에 있는 mushroom-cla allinfor.tistory.com DNN 모델 전처리 import pandas as pd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import numpy as np df = pd.read_c..
머신러닝/공부내용 원핫 인코딩과 라벨인코딩 oneHot-encoding Label-encoding 원핫 인코딩과 라벨인코딩을 왜 사용할까? 범주형 데이터의 경우 문자로 표현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을 숫자로 치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상황에 따라서 다르지만 원핫 인코딩은 주로 데이터 범주끼리 영향을 끼치면 안될 때 사용되고 라벨인코딩같은 경우에는 범주형 데이터의 관계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과일데이터인 경우 숫자가 원핫 인코딩으로 변환할 경우 데이터 3가지 모두 1과 0 으로 표현되어 숫자로 변환되어도 해당 범주가 아니면 학습할 경우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과일데이터를 라벨인코딩한 경우 알파벳 순으로 숫자로 변환되는데 범위가 커져서 만약 1000개의 데이터의 과일이 존재하면 모두 상관없는 똑같은 과일이지만 1000번째 과일이 숫자가 더 커 영향을 더욱 끼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
머신러닝/프로젝트 사칙연산 계산기 MLP 로 구현하기 학교 프로젝트로 MLP로 사칙연산 계산기를 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레이어를 단순히 많이 추가하거나 히든 노드를 추가한다고 해서 사칙연산 계산을 더욱 잘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사칙연산을 구현하는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MLP에 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모델을 만들거나 입력 데이터나 학습데이터를 인코딩해서 LSTM 모델을 만들어야 합니다. Seq2seq 를 이용한 사칙연산 https://github.com/hugikun999/Seq2Seq_Arithmetic GitHub - hugikun999/Seq2Seq_Arithmetic Contribute to hugikun999/Seq2Seq_Arithmetic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
머신러닝/프로젝트 독버섯 분류 학교 머신러닝 수업에서 회귀 프로젝트로 독버섯 분류한 내용입니다. 로지스틱 회귀와 트리 회귀를 통해 독버섯을 분류해봤습니다. 독버섯 데이터 독 버섯 데이터는 UCI와 캐글에 있는 mushroom-classification를 이용하였습니다. https://www.kaggle.com/datasets/uciml/mushroom-classification Mushroom Classification Safe to eat or deadly poison? www.kaggle.com 프로젝트 설명 현재 독버섯 데이터는 22개의 컬럼과 독성과 식용에 해당하는 1개의 컬럼 데이터가 8124 개가 존재합니다. 이중에서 모든 컬럼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버섯을 발견했을 때 흔히 알수 있는 컬럼을 이용해 독버섯을 분류할 ..